이 포스팅은 템닉의 개발저장소의 레거시 글입니다.
템닉의 개발저장소
기억 못할 수도 있는 지식들을 덤프해버리는 공간입니다.
tempnixk.tistory.com
1. 구구단 (문제번호 2739)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() {
unsigned short i, N;
cin >> N;
for(i=1;i<10;i++) {
cout << N << " * "<< i << " = " << N * i << endl;
}
return 0;
}
2. A+B-3 (문제번호 10950)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() {
unsigned short T, A, B, i;
cin >> T;
for(i=0;i<T;i++) {
cin >> A >> B;
cout << A + B << endl;
}
return 0;
}
출력이랑 입력이랑 콘솔창에 섞여도 되나 궁금해서 짜본 코드.
입력이랑 출력이랑 따로 구분해서 채점이 들어가는것 같다.
3. 합 (문제번호 8393)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() {
unsigned short n = 0, i = 0;
int result = 0;
cin >> n;
for(i=1;i<=n;i++) {
result = result + i;
}
cout << result;
return 0;
}
아 result까지 unsigned short에 넣어뒀다가 계속 틀려서 뭐가 잘못된지 한참을 고민했다...
4. 영수증 (문제번호 25304)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() {
unsigned int a, X, countOfA = 0;
unsigned short b, i, N;
cin >> X;
cin >> N;
for(i=0;i<N;i++) {
cin >> a;
cin >> b;
countOfA += a * b;
}
if(X == countOfA) {
cout << "Yes";
} else {
cout << "No";
}
return 0;
}
5. 코딩은 체육과목 입니다 (문제번호 25314)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() {
unsigned short N, i=0, j=0;
cin >> N;
i = N / 4 + 1;
for(j=1;j<i;j++) {
cout << "long ";
}
cout << "int" << endl;
return 0;
}
6. 빠른 A+B (문제번호 15552)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() {
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
cin.tie(NULL);
int i, T;
unsigned short A, B;
cin >> T;
for(i=0;i<T;i++) {
cin >> A;
cin >> B;
cout << A+B << "\n";
}
return 0;
}
https://jaimemin.tistory.com/1521
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 cin.tie(null); 구문을 추가해주는 이유
C++로 알고리즘을 풀 때 실행 속도를 높이기 위해 흔히 아래와 같은 구문을 작성해줍니다. 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 cin.tie(null); 저 같은 경우 단순히 시간초과가 발생했을 때 남들이 위 코드를 작
jaimemin.tistory.com
이 블로그에서 관련 구문에 대한 설명을 야무지게 해놔서 문제 풀면서 도움이 많이 되었다.
7. A+B - 7 (문제번호 11021)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() {
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
cin.tie(NULL);
unsigned int i, T;
unsigned short A, B;
cin >> T;
for(i=1;i<=T;i++) {
cin >> A;
cin >> B;
cout <<"Case #" << i << ": " << A+B << "\n";
}
return 0;
}
8. A+B - 8 (문제번호 11022)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() {
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
cin.tie(NULL);
unsigned int i, T;
unsigned short A, B;
cin >> T;
for(i=1;i<=T;i++) {
cin >> A;
cin >> B;
cout <<"Case #" << i << ": " << A << " + " << B << " = " << A+B << "\n";
}
return 0;
}
9. 별 찍기 - 1 (문제번호 2438)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() {
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
cin.tie(NULL);
unsigned short i, j, N;
cin >> N;
for(i=0;i<=N;i++) {
for(j=0;j<i;j++) {
cout <<"*";
}
cout<<"\n";
}
return 0;
}
처음에 위와 같이 풀었다가 출력 형식 오류가 떠서 엥? 뭐가 잘못됐지 하고 고민을 좀 했다. 콘솔창에 공백이 하나 더 추가로 입력되어있었는데, 코드를 보니 처음 for문이 돌아갈때 *이 찍히지 않는 것이 문제였다. j가 i보다 작아야해서 i가 0일때는 그냥 통과해버리는 것이 문제였다.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() {
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
cin.tie(NULL);
unsigned short i, j, N;
cin >> N;
for(i=0;i<N;i++) {
for(j=0;j<=i;j++) {
cout <<"*";
}
cout<<"\n";
}
return 0;
}
그래서 이런 식으로 코드를 바꿔주었다.
10. 별 찍기 - 2 (문제번호 2439)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() {
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
cin.tie(NULL);
unsigned short i, j, N;
cin >> N;
for(i=1;i<=N;i++) {
for(j=N-i; j>0; j--) {
cout << " ";
}
for(j=0;j<i;j++) {
cout << "*";
}
cout<<"\n";
}
return 0;
}
11. A+B - 5 (문제번호 10952)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() {
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
cin.tie(NULL);
unsigned short A=1, B=1;
while(A!=0||B!=0) {
cin >> A;
cin >> B;
if(A==0&&B==0)
return 0;
cout << A+B << "\n";
}
return 0;
}
처음에 if문 안넣어줘서 틀렸다.
12. A+B - 4 (문제번호 10951)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() {
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
cin.tie(NULL);
int a, b;
while(1){
cin >> a >> b;
if(cin.eof()) break;
else cout << a+b << endl;
}
return 0;
}
cin입력 후에 바로 cout출력이 진행된다. tie(null) 넣어줬는데도 이러는 거면 버퍼가 while문에서 비워지는 건가? 공부해봐야겠다.
'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단계 5. 문자열 (0) | 2024.03.17 |
---|---|
백준 단계 4. 배열 (0) | 2024.03.17 |
백준 단계 2. 조건문 (0) | 2024.03.17 |
백준 단계 1. 입출력과 사칙연산 추가된 문제들 풀이 (0) | 2024.03.17 |
백준 단계 1. 입출력과 사칙연산 (0) | 2024.03.17 |